
자신의 몸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없는 아이들에게 변은 가장 훌륭한 건강 대변인입니다. 변의 양은 수유량이 충분한지, 색과 횟수 그리고 냄새는 아이의 건강상태를 알려 줍니다. 변의 색깔은 간에서 만들어지는 담즙색소인 빌리루빈의 색과 동일합니다. 요구르트를 마시면 흰 빛을 띠는 등 먹은 것에 따라 색이 바뀌거나, 소화액이 더해져 변색되기도 하는데 장내에 음식물이 머무는 시간, 효소의 분해력, 장내 세균의 종류와 활동성, 음식 종류 등에 따라 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TIP*
건강한 아이의 변 색깔
황색: 간장에서 나올 때 담즙의 색은 기본적으로 갈색입니다. 이것이 담낭으로 들어갔다가 나올 때에는 진한 녹색이 되었다가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면 진한 황색으로 바뀌게 되는데 가장 자연스럽고 건강한 변의 색깔입니다.
녹색: 담즙색소는 장내에 오래 머무르면 산화되어 녹색이 되는데 그 상태 그대로 배설되면 녹색 변을 보게 됩니다. 즉, 녹변도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많은 엄마들의 우려와는 다르게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쑥색: 담즙은 장내에 오래 있을수록 색이 변하는데 이유식이 진행됨에 따라 음식을 소화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점점 농축된 색이 되어 쑥색 변이 나오기도 합니다.
건강이좋지 않은 아이의 변 색깔
빨간색: 아이 변에 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혈액이 변에 어떻게 묻어 있는지가 중요한데 변 전체에 스며든 것처럼 붉을 때에는 장중첩증이나 세균성 장염(식중독)이 우려되므로 반드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흰색: 담도폐쇄증, 로타바이러스 위장염, 장관 아데노바이러스를 의심해 볼 수 있는 색입니다. 또 췌장과 관련한 병으로 지방 변이 생겨 군데군데 하얗게 묻어 나오는 경우도 있으므로 어떤 경우든 흰색 변이 나온다면 질병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검은색: 검은색 변을 봤을 경우에는 위나 소장 등 소화관 위쪽에서 출혈이 일어난 것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코피를 들이마셨거나 엄마 유두에 난 상처로 인해 피를 먹은 경우라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이들이 채소를 먹은 뒤 섬유질을 소화시키지 못해 먹은 것을 그대로 배설하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 변의 상태가 평상시와 같다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또한 소화관의 점막이 자극받아 점액이 그대로 배설되는 경우 점액질이 섞여 나오기도 하는데 이때에도 특별히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 점액이 많으면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병원 진료를 받아 보도록 합니다. 지방 덩어리인 흰색 알갱이에 섬유직이 섞인 상태의 변일 경우에는 검은색 알갱이가 섞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담즙에 의해 섬유질 색이 검게 변한 것이므로 녹황색 채소를 먹은 경우 색이 더욱 짙게 보입니다. 지방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았거나 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었을 경우에는 흰색 알갱이가 군데군데 보이는 변을 보게 되는데 유지방이 응고된 것이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변의 일부에 피가 묻어 있으면 항문 가까이 있는 점막이 찢어진 항문열상일 확률이 높고, 군데군데 피가 섞여 있다면 대장의 면역세포 집합체가 튀어나와 변이 지나갈 때 출혈이 일어난 것일 수 있으므로 아이의 항문주위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이유식이 진행되면서 고형식을 먹으면 아이 변도 서서히 딱딱해지기 시작하는데 반대로 수분 섭취량이 많으면 묽어지기도 합니다. 단, 아이가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에는 수분 섭취량이 많아도 변이 단단할 수 있으므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아이가 오랫동안 변을 보지 못했거나, 변비가 있을 때에는 굵은 변을 보게 되는데 장 기능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병원에 가서 직접 검진을 받아 본 후 식이요법과 약물을 통해 치료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아이 변은 어른 변에 비해 묽은 것이 보통인데 토끼 똥처럼 떼굴떼굴 굴러가는 딱딱한 변을 보는 경우에는 변비에 걸렸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에 경련이 나타나는 경우에도 이런 변을 볼 수 있습니다. 열이난 뒤에 녹변을 본다거나 케첩 같은 붉은색 변을 보는 경우 쌀뜨물처럼 하얀 물변을 보는 경우에도 세균에 감염됐거나 출혈이 일어난 것일 수 있으므로 꼭 병원에 갈 수 있도록 합니다.
아이가 잘 먹고 잘 논다면 장시간 변을 보지 않더라도 일단 지켜보기로 하는데 분유 수유 중이라면 정해진 농도로 수유하고, 때에 따라 유산균제를 함께 타서 먹이면 도움이 됩니다. 먹을 때마다 변을 보는 경우 아이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라면 별 문제가 없지만 간혹 증세가 심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진찰을 받고 정확학 원인을 찾도록 해야 합니다. 이유식을 진행하면서 대변을 보는 횟수가 줄어들기 시작해 생후 12개월이 되면 하루에 2-3회 변을 보게 됩니다. 모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딱딱한 이유식을 소화하는 데 시간이 걸려 배변의 횟수가 줄어드는 것이므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평소보다 굉장히 묽은 변으로 횟수도 늘어난 상태의 변은 설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묽어도 횟수가 평소와 같고 냄새가 약하며 아이가 여느 때처럼 활기차면 설사가 아니라고 봐도 됩니다. 구토와 발열 등의 증상을 동반하거나 물이나 음식을 전혀 먹지 못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아이가 설사를 하게 된다면 탈수가 되지 않도록 끓여서 식힌 물이나 유아용 이온 음료 등을 자주 먹여주고 음식으로 에너지를 보충하되 위장에 부담이 적고 소화가 잘 되는 것으로 선별하여 먹이도록 합니다. 모유를 먹는 아이는 섭취량을 줄이고 분유는 평소보다 3분의 2 정도로 묽게 타서 먹여야 합니다. 엉덩이가 짓무르지 않도록 신경 쓰고 기저귀를 갈아 줄 때에는 엄마 손을 깨끗이 씻어 2차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합니다.
변이 딱딱해지고 평소보다 횟수가 줄어 고통을 동반하는 증상을 보이면 변비를 의심해 봐야 합니다. 2-3일 정도 변을 보지 않아도 아이의 상태가 나쁘지 않다면 괜찮지만 고통스러워하거나 식욕이 줄고 변이 딱딱해 항문이 찢어질 경우에는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장 운동을 촉진하고 당분으로 변을 붉게 만들어주기 위해 과즙을 먹이고 배꼽 주위를 주무르거나 마사지를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다리를 구부렸다가 펴주는 체조도 효과가 있으며 항문 주위를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자극을 주거나 올리브유를 바른 면봉으로 항문을 자극해 주면 즉각적으로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세균에 감염되었을 경우에는 변에서 썩은냄새가 나거나시큼한 냄새가 나게 됩니다. 매번 이런 냄새가 나게 될 경우에는 꼭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하고 그렇지않다면 일시적인 증상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아이의 건강상태를 수시로 주의깊게 체크 할 수 있어야 겠습니다
'육아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아이 어떻게 놀아줘야 할까? 월령별 장난감 고르기! (2) | 2023.02.23 |
---|---|
아기건강의 중요한 척도 변건강과 배변훈련 알아보기! -2탄- (0) | 2023.02.23 |
훈육이 너무 어려워요! 훈육하는 기술 배우기! (0) | 2023.02.21 |
잘 자라고 있는건가 걱정되신다면 성장 발달평균 알아보세요! (0) | 2023.02.21 |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분유 수유에 대한 궁금증! -3탄- (0) | 202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