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백과사전

아기건강의 중요한 척도 변건강과 배변훈련 알아보기! -2탄-

아이의 배변훈련 또한 변의 상태만큼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는 문제인데 아이가 배변 훈련을 통해 조절능력을 키우며 부쩍 성장하기 때문입니다. 배변 훈련의 시작 시기와 단계별 방법을 알아두면 질풍노도의 배변 훈련이 한결 수월해질 수 있으나 기저귀와 작별하기까지는 예민한 시기를 보낼 수 있으므로 부모와 아이 모두의 인내가 필요한 과정입니다.

 

대소변을 가린다는 건 아이가 용변을 보고 싶다고 느낀 후 변기에 도착할 때까지 배변을 참았다가 배출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뇌신경이 충분히 성숙해서 이 모든 과정을 통제해야 하는데 아이가 혼자 걸을 수 있다면 뇌신경이 근육을 제대로 통제한다는 뜻이기도 하므로 배변 훈련을 할 준비다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2시간마다 소변을 본다는 것은 방광에 소변을 저장할 수 있고, 소변이 마려워도 어느 정도 참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시기 또한 배변 훈령을 시작하기에 무리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엄마가 "쉬할까?" 하고 물었을 때 아이가 알아듣고, 대소변을 보고 싶을 때 스스로 의사표현을 할 수 있다면 배변훈련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전문가는 배변 훈련 시기는 생후 18-24개월이 적당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엄마가 아무리 배변 훈련을 시키려 해도 아이 몸이 준비되지 않으면 대소변 가리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기간을 충분하게 잡는 것입니다. 또한 배변훈련 시에 아이가 받을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그리고 배변 훈련을 한결 쉽고 빠르게 마치기 위해 생후 24개월로 늦춰 잡으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배변훈련의 첫 단계는 아이가 사용할 변기를 정하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연습 없이 아이를 변기에 앉히려고 한다면 배변 훈련을 실패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가 그려져 있거나 멜로디가 나오는 아이 전용 변기를 구입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어른 변기로 배변 훈련을 시작할 예정이라면 아이용 시트를 변기에 부착하거나 받침대를 마련하여 아이 혼자 변기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해준다면 아이가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을뿐더러 성취감도 느끼게 됩니다. 때로는 변기에 앉힌 채 간식도 먹이고 책도 읽어주고 재미난 이야기도 들려주면서 보다 익숙한 물체가 될 수 있게 해 주고, 자신의 이름을 적은 스티커를 붙여주면 '내 것'이라는 마음이 들면서 변기에 애착을 가질 수 있게 되므로 배변 훈련에 보다 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변기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맨살에 닿는 변기의 감촉에 적응할 수 있도록 목욕 전 후에 아랫도리를 벗기고 변기에 앉혀 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이가 변기를 친숙하게 느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니 이때 대 소변에 대해 절대 언급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까지 연습이 충분히 되고 아이도 변기에 대해 친숙하게 느끼기 시작한다면 기저귀 벗기를 서서히 시도해 보도록 합니다. 지금까지 알고 있던 변기의 용도를 변경하여 설명해주면서 대 소변을 보고 싶어 하는지 살피고 아이가 사인을 보낸다면 즉시 기저귀를 벗기고 변기에 앉힌 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격려해 줍니다. 이때 아이가 변기를 거부하거나 욕실바닥을 향해 오줌을 싸더라도 화내지 않고 아이가 내려오고 싶다고 하면 내려주면서 아이가 변기에 대 소변을 볼 수 있을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여 줍니다.

 

대소변을 가릴 줄 아는 친한 언니나 형이 변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의 모방 심리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부모 또한 모델이 되어 줄 수 있는데 이때 이성 모델은 아이에게 혼동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아이용 변기는 항상 일정한 장소에 두어 아이가 스스로 변기를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쉽고 개방된 장소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화장실에 변기를 두는 경우에는 문을 폐쇄적인 느낌으로 불안감이 들지 않도록 열어 두어야 합니다. 아이는 용변을 자신의 일부로 생각하기 때문에 변기 안으로 빨려 내려가는 모습을 보면 충격을 받거나 변기에 대한 두려움이 생길 수 있으므로 아이가 앉아있는 상태에서 변기 물을 내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기저귀를 떼고 팬티를 착용하기 시작하면 팬티에 오줌을 쌀 경우 기저귀에 비해 축축한 느낌이 심해서 아이에게 소변을 가리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되기도 하는데 그렇다고 해서 축축한 팬티를 갈아입히지 않고 방치하는 것은 절대 하지 않아야 합니다. 배변 훈련에서 중요한 것은 대소변을 가리지 못했을 때 축축하고 더러운 느낌이 아니고 대 소변을 가렸을 때의 깨끗하고 기분 좋은 느낌을 가르치는 것이므로 팬티를 입히되 자주 갈아입힐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가 단 한 번이라도 변기에 대소변을 보았다면 점차 변기에 앉히는 횟수를 늘리도록 해야 합니다. 배변 패턴을 잘 파악해 두었다가 용변 볼 시간이 되면 팬티를 벗기고 변기에 앉히는 연습을 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배변 훈련이 되도록 유도합니다. 변기에 앉혔을 때 거부감 없이 용변을 보는 단계가 되면 이번에는 아이 스스로 용변을 보고 싶다고 말할 때까지 기다려 줍니다. 그전에 소변을 보게 한다면 방광이 가득 찬 느낌을 경험할 수 없으므로 의사 표현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낮에 기저귀를 떼어도 당분간 잠을 잘 때만큼은 기저귀를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잠자는 아이를 깨워 화장실에 데려가는 것보다는 잠들기 전에 소변보는 습관을 들이고 기저귀가 아침까지 보송보송할 경우에는 칭찬과 격려를 해줌으로써 서서히 기저귀를 떼고 팬티만 입힌 채 잠을 잘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때 이부자리에 소변을 실수하더라도 아이에게 화를 내거나 벌을 주어서는 안 됩니다. 

 

아이가 하나씩 배우며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부모 또한 인내하는 것을 통해 아이와 같이 성장해 나갈 수 있습니다. 처음이라 어려울 수밖에 없는 과정 속에서 우리 아이들이 차근차근 익히며 배워 갈 수 있도록 배변 훈련은 그 어느 때보다 부모의 역할이 중요할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쉽지 않겠지만 아이가 기저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배변 활동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아낌없는 격려와 칭찬이 필요한 때입니다.